====== 쉐ᄑᆞ름 ====== ===== 쉐ᄑᆞ름 : 휘파람 ===== * 번역: 휘파람 * 변이형: 쉐ᄑᆞ름, 쉣ᄇᆞ름 * 분류어휘표 번호: [[ko:bunrui:13230|13230(音楽)]] ==== 연상어휘 ==== - * 숨비소리, 숨비질소리: [[ko:kindred:4361_4462_4535_4359_4469_4361_4457_4357_4469#숨비소리 숨비소리|숨비소리]] - * 노래: [[ko:kindred:4354_4457_4527_4357_4454#놀레 노래|놀레]], 놀래, [[ko:kindred:4361_4457_4357_4469#소리 노래|소리]], [[ko:kindred:4361_4449_4355_4450#사대 노래|사대]] * 정의현旌義縣의 도읍지都邑地였던 성음城邑에서 전해지는 창민요唱民謠, 본래本來 창민요唱民謠이면서도 옛 정의현旌義縣 일부一部 지역地域에서 밭매는 노래로 전용轉用하여 부르는 민요民謠: [[ko:kindred:4363_4461_4540_4366_4453_4523_4352_4453_4535#용천검 정의현[旌義縣]의 도읍지[都邑地]였던 성음[城邑]에서 전[傳]해지는 창민요[唱民謠]|용천검]] * 밭 매면서 부르는 민요民謠: [[ko:kindred:4361_4468_4352_4462_4536_4363_4469_4364_4469_4523_4361_4449_4355_4454#싀굽이진사데 밭 매면서 부르는 민요[民謠]|싀굽이진사데]], [[ko:kindred:4370_4457_4540_4363_4450_4352_4469#홍애기 밭 매면서 부르는 민요[民謠]|홍애기]], [[ko:kindred:4352_4453_4535_4364_4469_4527_4358_4454_4354_4467_4523_32_4361_4457_4357_4469#검질메는 소리 밭 매면서 부르는 민요[民謠]|검질메는 소리]] * 가락이 아주 느리고 유장悠長한 밭매는 노래의 한 가지: [[ko:kindred:4355_4453_4357_4453_4535_4361_4457_4357_4469#더럼소리 가락이 아주 느리고 유장[悠長]한 밭매는 노래의 한 가지|더럼소리]] * 네 굽이로 꺾어서 느리게 부르는 밭매는 노래의 한 가지: [[ko:kindred:4354_4468_4352_4462_4536_4363_4469_4364_4469_4523_4361_4449_4355_4454#늬굽이진사데 네 굽이로 꺾어서 느리게 부르는 밭매는 노래의 한 가지|늬굽이진사데]] * 날이 저물어서 밭매기를 서두를 때 재빠른 가락으로 부르는 밭매는 노래: [[ko:kindred:4358_4449_4520_4359_4449_4364_4469_4361_4449_4355_4454#막바지사데 날이 저물어서 밭매기를 서두를 때 재빠른 가락으로 부르는 밭매는 노래|막바지사데]] * 경쾌輕快하고 빠른 가락의 밭매는 노래의 한 가지: [[ko:kindred:4355_4449_4535_4359_4462_4527_4361_4457_4357_4469#담불소리 경쾌[輕快]하고 빠른 가락의 밭매는 노래의 한 가지|담불소리]], 담벌소리 * 밭 매는 노래의 한 가지: [[ko:kindred:4361_4449_4540_4361_4449_4355_4469_4363_4451_4363_4461#상사디야요 밭 매는 노래의 한 가지|상사디야요]], [[ko:kindred:4366_4462_4366_4469_4535_4361_4449_4355_4454#추침사데 밭 매는 노래의 한 가지|추침사데]], [[ko:kindred:4363_4449_4363_4464_4352_4469#아웨기 밭 매는 노래의 한 가지|아웨기]] * 가락이 짧지도 느리지도 않은 밭매는 노래의 한 가지: [[ko:kindred:4364_4462_4540_4352_4449_4523_4361_4449_4355_4454#중간사데 가락이 짧지도 느리지도 않은 밭매는 노래의 한 가지|중간사데]] * 가락이 짧은 밭매는 노래의 한 가지: [[ko:kindred:4365_4510_4357_4467_4523_4361_4449_4355_4454#ᄍᆞ른사데 가락이 짧은 밭매는 노래의 한 가지|ᄍᆞ른사데]] * 검질 매는 소리: [[ko:kindred:4361_4449_4355_4454#사데 검질 매는 소리|사데]], 사디 * 가락이 느린 밭매는 노래의 한 가지: [[ko:kindred:4364_4469_4523_4361_4449_4355_4454#진사데 가락이 느린 밭매는 노래의 한 가지|진사데]] * 집터를 단단히 다지면서 부르는 민요民謠: [[ko:kindred:4355_4449_4527_4352_4462_4361_4457_4357_4469#달구소리 집터를 단단히 다지면서 부르는 민요[民謠]|달구소리]], [[ko:kindred:4355_4449_4527_4352_4462_4364_4469_4546_4354_4467_4523_32_4361_4457_4357_4469#달구짛는 소리 집터를 단단히 다지면서 부르는 민요[民謠]|달구짛는 소리]], [[ko:kindred:4363_4463_4523_4355_4449_4527_4352_4465_32_4361_4457_4357_4469#원달귀 소리 집터를 단단히 다지면서 부르는 민요[民謠]|원달귀 소리]] * 달구노래: [[ko:kindred:4369_4455_4540_4368_4457_32_4364_4469_4538_4354_4467_4523_32_4354_4457_4357_4450#평토 짓는 노래 달구노래|평토 짓는 노래]] * 혼자 지고 다닐 수 있을 만큼 자그만 손풀무로써 혼자 바람을 일으키며 부르는 민요民謠: [[ko:kindred:4356_4457_4520_4356_4449_4520_4359_4462_4527_4358_4469_32_4354_4457_4527_4357_4454#똑딱불미 놀레 혼자 지고 다닐 수 있을 만큼 자그만 손풀무로써 혼자 바람을 일으키며 부르는 민요[民謠]|똑딱불미 놀레]] * 베틀에서 피륙을 짜는 과정過程을 노래하는 민요民謠: [[ko:kindred:4359_4454_4367_4467_4527_32_4361_4457_4357_4469#베클 소리 베틀에서 피륙을 짜는 과정[過程]을 노래하는 민요[民謠]|베클 소리]] * 여러 사람이 발로 디디며 치르는 골풀무로 바람을 일으키며 부르는 민요民謠: [[ko:kindred:4355_4469_4355_4469_4535_4359_4462_4527_4358_4469_32_4354_4457_4527_4357_4454#디딤불미 놀레 여러 사람이 발로 디디며 치르는 골풀무로 바람을 일으키며 부르는 민요[民謠]|디딤불미 놀레]], [[ko:kindred:4359_4449_4527_4369_4449_4523_4359_4462_4527_4358_4469_32_4354_4457_4527_4357_4454#발판불미 놀레 여러 사람이 발로 디디며 치르는 골풀무로 바람을 일으키며 부르는 민요[民謠]|발판불미 놀레]] * 멸치를 후리는 집단集團 작업作業을 하며 부르는 민요民謠: [[ko:kindred:4358_4454_4527_32_4370_4462_4357_4469_4354_4467_4523_32_4361_4457_4357_4469#멜 후리는 소리 멸치를 후리는 집단[集團] 작업[作業]을 하며 부르는 민요[民謠]|멜 후리는 소리]], 멜 후림 소리 * 어부漁夫들이 고기를 낚으러 먼 바다를 드나들 때 탄 배의 노를 저으며 부르는 민요民謠: [[ko:kindred:4354_4454_32_4364_4453_4538_4354_4467_4523_32_4361_4457_4357_4469#네 젓는 소리 어부[漁夫]들이 고기를 낚으러 먼 바다를 드나들 때 탄 배의 노를 저으며 부르는 민요[民謠]|네 젓는 소리]], [[ko:kindred:4359_4454_32_4364_4453_4538_4354_4467_4523_32_4361_4457_4357_4469#베 젓는 소리 어부[漁夫]들이 고기를 낚으러 먼 바다를 드나들 때 탄 배의 노를 저으며 부르는 민요[民謠]|베 젓는 소리]] * 떼를 타고 어로작업漁勞作業할 때 노를 저으면서 부르는 민요民謠: [[ko:kindred:4368_4453_4363_4465_32_4364_4453_4538_4354_4467_4523_32_4361_4457_4357_4469#터위 젓는 소리 떼를 타고 어로작업[漁勞作業]할 때 노[櫓]를 저으면서 부르는 민요[民謠]|터위 젓는 소리]] * 백정白丁의 수호신守護神을 위한 굿인 거무영청대전상굿에서 지장본풀이 끝에 부르는 노래: [[ko:kindred:4355_4457_4361_4449_4527_4363_4449_4364_4469_4364_4449_4540_4359_4457_4523#도살아지장본 백정[白丁]의 수호신[守護神]을 위[爲]한 굿인 거무영청대전상굿에서 지장본풀이 끝에 부르는 노래|도살아지장본]] * 석살림할 때 한 집안 내지乃至 씨족氏族 수호신守護神을 즐겁게 놀리는 대목의 노래 이름 : [[ko:kindred:4355_4449_4535_4359_4462_4527#담불 석살림할 때 한 집안 내지[乃至] 씨족[氏族] 수호신[守護神]을 즐겁게 놀리는 대목의 노래 이름 |담불]] * 석살림할 때 한 집안 또는 씨족氏族 수호신守護神인 조상祖上을 즐겁게 놀릴 때 부르는 노래 이름 : [[ko:kindred:4361_4453_4363_4462_4364_4454_4361_4457_4357_4469#서우제소리 석살림할 때 한 집안 또는 씨족[氏族] 수호신[守護神]인 조상[祖上]을 즐겁게 놀릴 때 부르는 노래 이름 |서우제소리]] * [[ko:exhibition:vocabulary:k|ㄱ]] [[ko:exhibition:vocabulary:n|ㄴ]] [[ko:exhibition:vocabulary:t|ㄷ]] [[ko:exhibition:vocabulary:l|ㄹ]] [[ko:exhibition:vocabulary:m|ㅁ]] [[ko:exhibition:vocabulary:p|ㅂ]] [[ko:exhibition:vocabulary:s|ㅅ]] [[ko:exhibition:vocabulary:q|ㅇ]] [[ko:exhibition:vocabulary:c|ㅈ]] [[ko:exhibition:vocabulary:ch|ㅊ]] [[ko:exhibition:vocabulary:kh|ㅋ]] [[ko:exhibition:vocabulary:th|ㅌ]] [[ko:exhibition:vocabulary:ph|ㅍ]] [[ko:exhibition:vocabulary:h|ㅎ]]